티스토리 뷰
리눅스에서 서비스(service) = 데몬(daemon) = 서버 프로세스 라고 이해하면 편하다.
서비스 : 시스템에서 늘 가동하는 서버 프로세스.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일종이다.
소켓 : 필요할 때만 작동하는 서버 프로세스
서비스와 소켓은 systemd라는 서비스 매니저 프로그램으로 작동/관리된다.
서비스
- 시스템과 독자적으로 구동 및 제공되는 프로세스.
ex) 웹서버(httpd), DB 서버(mysqld), FTP서버(vsftpd)
- 실행 및 종료는 'systemctl start/stop/restart/status 서비스이름' 명령으로 관리된다.
ex) 웹서버 구동 : systemctl start httpd
- 서비스의 실행 스크립트 파일은 /usr/lib/systemd/system/ 디렉터리에 '서비스이름.service' 라는 이름으로 되어있다.
ex) Cron 서비스는 crond.service라는 이름으로 되어있다.
- systemctl list-unit-files 명령으로 상태(STATE)가 사용(enabled)/사용안함(disabled)인지 확인함으로써 부팅과 동시에 서비스의 자동 실행 여부를 조정할 수 있다.
static : 사용/사용안함 설정할 수 없고, 다른 서비스나 소켓에 의존해서 실행되는 것.
*ntsysv 명령으로 뜬 창에서, [ ] 안에 체크표시 있으면 부팅 시 뜨는 것, 없으면 부팅 시 뜨지 않는 것이다.
소켓
- 서비스는 항상 가동되지만, 소켓은 그렇지 않다.
외부에서 특정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에 systemd가 구동시키고, 요청이 끝나면 소켓도 종료된다.
- 소켓으로 설정된 서비스를 요청할 때 처음 연결되는 시간은 항상 구동되는 서비스보다 약간 느릴 수 있다. systemd가 서비스를 새로 구동하는 데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.
- 소켓 관련 스크립트 파일은 /usr/lib/systemd/system/ 디렉터리에 '소켓이름.socket' 이름으로 존재한다.
- 장점 : 메모리 낭비 X(항시 구동되지 않기 때문)
- 단점 : 시간이 오래 걸림
* 공부 자료 및 출처 : 이것이 리눅스다 with RedHat CentOS8 [우재남, 한빛출판사]
'Study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리눅스] 프로세스 개념 및 명령어 (0) | 2020.10.15 |
---|---|
[리눅스 명령어] 파이프, 필터, 리디렉션 (0) | 2020.10.15 |
리눅스 centOS 8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및 네트워크 개념 (0) | 2020.10.15 |
[리눅스] linux 기초 명령어 | 파일만들기 | gedit, cat, touch (0) | 2020.01.03 |
[리눅스] linux 기본 명령어 | ls 명령어와 주요 옵션들 (0) | 2019.12.29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병돌리기구현
- 정적 웹페이지 배포
- SpacewBetween
- 티스토리챌린지
- awsgenai
- partyrock무료
- easycode
- 알고리즘
- 술자리병돌리기게임
- partyrock생성
- partyrock앱
- 오블완
- 생성형AI
- 코딩테스트
- PYTHON
- BOJ
- aws생성형ai
- genaiapp
- vscode easycode
- partyrock
- AWSBedrock
- partyrock사용볍
- easycode chatGPT
- React native 작동 원리
- 파이썬
- S3 403 forbidden
- 정적 웹사이트 배포
- ChatGPT
- 백준
- S3배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